여러분은 2014년 상반기 이슈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Naver Trend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의 이슈를 선정해보았습니다.


  

번째로는 Let it go~의 열풍을 불게한 '겨울왕국'입니다. 아이들과 어른들도 좋아했던 영화였죠. 1월부터 2월 사이에 가장 많이 검색되었습니다. 거리마다 겨울왕국 OST로 가득하고 버스커버스커의 '벚꽃엔딩'이 나올 때까지 건재하며 인기를 자랑했습니다.



번째로는 피겨요정 '김연아' 선수입니다. 러시아에서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과 맞물려 2월과 3월 사이에 가장 많이 검색되었습니다. 김연아 선수의 '은퇴 경기' 였기에 판정에 더 아쉬움이 컸습니다. 



번째로는  송파 세 모녀 자살 사건 입니다. 사건발표 2월 27일을 기점으로 2월과 3월 사이에 많이 검색되었습니다. Naver Trend 수치로 보면 다른 이슈들에 비해 적어보이지만, 그 당시에는 사람들의 관심을 받던 사건이었습니다. 그 이유로는 여느 자살사건과는 다르게 마지막까지 죄송하다고 말하며 밀린 집세와 공과금을 정성스레 준비했기 때문입니다.   

 


번째로는 4월 16일, 전 국민 모든 어른들이 미안함에 잠을 못이루고 계속 기도할 수 밖에 없었던 '세월호' 이었습니다. 수학여행을 제주도로 가는 도중 어른들의 욕심과 안일함으로 인해 여객선인 '세월호'가 침몰을 당했습니다. 더 안타까운 것은 유가족들에게 남겨진 2차적인 상처가 더 크다는 것입니다. 다시는 이 땅에 이런 아픔이 생기지 않길 기도합니다.

 

 

지막으로는 6월부터 7월까지 온 지구촌을 뜨겁게 했던  2014 브라질 월드컵이었습니다. 최종 우승국은 '독일'이었는데요, 자국에 돌아가서 우승 축하 퍼레이드 도중 인종비하에 가까운 조롱으로 세계의 질타를 받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2014년 대한민국 상반기에는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요, 저는 송파 세 모녀 사건을 다뤄보고자 합니다. 세계 경제 순위 14위속하는 '대한민국'이 정말 행복하고 잘 사는 나라가 되기 위해선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빈곤층 자살'에 관심이 필요합니다.

   


 

<출처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2272141485&code=940202> 

 

 서울 송파구에 한 단독주택 지하 1층에 살던 박모씨(61)와 큰 딸 김모씨(35), 작은딸(32)이 1주일 만에 집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됬습니다. 당시 창문은 청테이프로 막혀있었고 그릇에는 번개탄을 피운 재가 남아있었습니다. 경찰은 한때 중산층이었던 박씨 가족이 가장의 사망 이후 질병과 가난을 견디지 못해 자살한 것으로 보고 있고 현장에는 집주인에게 남긴 메모와 현금 70만원이 든 흰색 봉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봉투에는 마지막으로 남긴 말이 적혀있었습니다."주인 아주머니께. 죄송합니다.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입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송파 세모녀 자살 사건, 여느 자살 사건과는 다르게 우리에게 아픔으로 다가오는 것은 어머니인 박모씨의 메세지 때문입니다. 박모씨는 이 땅에서의 삶 마지막 순간까지 '죄송하다'는 말만 연거푸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무엇이 죄송할까요? 무엇이 그토록 그들을 죄송하게 만들었을까요?

  

 

 

무엇이 그들을 '극단적인 선택'으로 내몰았는가?


  

 

먼저 유가족과 경찰의 발표로는 생전에 암이 있었던 1)남편의 치료비가 많은 빚으로 되었고 2)두 딸은 신용불량자가 되어 취직을 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또한 심한 당뇨가 있었던 큰 딸은 매일 방에만 있어야 했으며 수첩엔 매일 당수치를 체크한 흔적이 있지만 병원에 갔던 기록은 없었습니다. 결국 3)어머니 혼자 모든 생계를 이어가야 했고 그러던 중 4)한 달 전 식당에서 일하던 어머니가 넘어져 다치면서 식당일도 하지 못하게 되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 것입니다.

 

OECD 국가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평균 12.1명이 자살로 인해 죽는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은 29.1명으로 2배 이상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습니다. 인구 5000만 명으로 보았을 때, 1년에 약 14,550명이 하루에 약 39.8명이 자살을 하고 있습니다.

OECD 국가 중 11년 연속 자살율 1위라는 기록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도대체 어떤 문제가 있길래 대한민국 국민들은 자살을 선택하는 것일까요? 

 

                      <출처 : 2013 OECD 통계 > 

 

 

 

1. 직업별 자살율

 

직업 별 자살 비율을 살펴 본 결과 많은 직업 직종이 있었으나 가장 상위에 랭크되어있는 4개의 직종을 분석한 결과 직업이 없거나 가사를 맡고 있는 사람들(남녀 구분 없이)이 가장 많이(전체 69.4%) 자살했습니다. 즉, 돈을 벌 수 없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자살했습니다.

 

<출처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2 >

 

  

2. 자살 충동을 느낀 집단


  

 

<출처 : 통계청, 「자살에 대한 충동 및 이유」 , 2012>

 

번째로는 자살충동을 느낀 집단에 대해 조사해보았습니다. 자료를 보면 전 국민 중 약 9.1%가 자살 충동을 느낀적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자살충동을 느끼는 집단은 자신의 삶에 불만족을 느끼는 집단 (20.1%)은가 평균의 두 배 되게 '자살 충동을 느꼈다'고 답했습니다. 위의 결과 수치는 '자살자신의 삶의 최종 평가이다.' 라는 주장에 근거가 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실업 및 비경제활동 집단중졸의 학력을 가진 집단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자살을 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 자살 충동의 원인


 

<출처 : 통계청  「자살에 대한 충동 및 이유」  , 2014 >

 

번쩨로는 자살 충동을 느낀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는데요. 기타 많은 요인들이 있었지만 상위 6개의 항목으로 그래프를 구성했습니다. 자살충동을 느껴보았다라고 답한 사람 중 약 40%의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뽑았습니다. 그렇습니다. 결국은 빈곤이라는 경제적 어려움이 자살로 내몰고 있었습니다. 어쩔수 없이 소득 차이는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요, 그렇다면 단순히 '돈을 더 벌지 못해서' 자살하려 하는 것일까요?

  

 

4. 자살율과 빈부격차의 관계


 

번째로는 자살율과 빈부격차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과연 차이가 있을까요?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리나라의 자살급증원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과제」 , 2012-64호 이상영 외 2,  p58 >

  

∴"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 10분위 배율’ (최하위 10% 소득계층 대비 최상위 10% 소득계층 소득 비율) 기준의 소득분배 상태와 자살증가율과는 추세적으로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어 소득분배가 자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  라고 연구원들이 밝혔는데요, 이처럼 빈곤층과 부유층의 비율이 커 질수록 자살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즉, 빈부격차의 지수인 지니계수가 커질 수록에 자살율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살기가 힘들기에 자살하려 할까요?  

  

 

5. 소득 분위 별 평균수입 및 흑자율


 

  

<출처 : 통계청  「소득10분위별 가구당 가계수지」 , 2014 >

 

10 분위의 가장 잘 사는 계층은 월 평균 1천만 원이 넘는 소득을 벌고 있는 반면, 최하계층 1 분위의 사람들은 89만 원 벌고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4번의 이유에 의하면 이처럼 양극화가 심해질 수록 (지니계수가 높아질 수록) 자살율은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전년도 대비 가계별 흑자율을 비교해볼까요

 


   

<출처 : 통계청  「소득10분위별 가구당 가계수지」 , 2014 >

 

2014년 1/4분기 발표 자료입니다. 소득분위 최하위 2개의 계층만 (-)이고 나머지는 (+)로 나타났습니다. 10분위 계층은 45%의 흑자율을 기록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소득분위 하위 계층은 빚만 점점 늘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의 소비형태가 소득보다 큰 것은 생계입니다. 살기위해 소비를 하지만, 점점 빚들이 늘어나게 되어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모두에서 거절당하고 결국 제3금융권에 가서 돈을 빌리는 상황입니다. 소득분위 하위 계층의 이같은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면 제 2의 '송파 세 모녀 자살사건'다시 찾아올 것 입니다.

 

  

정리하기


대한민국은 빠른 경제성장으로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빠른 성장으로 인해 심한 소득불균형사회취약계층 문제가 심화되었습니다. '양극화가 곧 자살률을 증가시킨다' 는 연구 결과를 따르면 제 2의  송파 세모녀 자살 사건은  다시 일어날 것입니다.

 

브리티쉬 컬럼비아 대학의 교수이자 경제학자인 John F. Helliwell의 연구 결과 "자살예방을 위한 사회적 투자가 높을수록 자살률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사회적 투자 즉, 빈곤층에 대한 자본 투자가 자살율을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이 정말 선진국이 되고, 국민 모두가 행복하려면 이제는 우리가 앞만 보고 달려가는 것이 아니라 사각지대에 놓인 어려운 분들에게도 관심을 가져야만 합니다. 그것이 진정 이 나라의 미래를 위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다시는 송파 세 모녀사건과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길 바랍니다.

  

 

 

 ※ 본 글은 '통계청블로그기자단'의 기사로 통계청의 공식입장과 관계가 없습니다.

 

 


 

+ Recent posts